한글은 배우기 쉬운 문자로 잘 알려져 있지만, 실제로 소리 내어 읽는 것에는 여러 가지 규칙이 숨어 있습니다. 우리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단어들도 발음 규칙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죠. 오늘은 된소리되기, 연음, 자음 동화 등 한글의 대표적인 발음 규칙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
1. 한글 발음 규칙-된소리되기
된소리되기는 발음이 굳세지고 강해지는 현상입니다. 쉽게 말해, 예사소리(ㄱ, ㄷ, ㅂ, ㅈ)가 된소리(ㄲ, ㄸ, ㅃ, ㅉ)로 바뀌는 현상이죠.
예시
- 국밥 → [국빱]
- 꽃방 → [꼳빵]
- 학교 → [학꾜]
원리
- 앞 음절의 받침이 ‘ㄱ, ㄷ, ㅂ’ 등일 때, 그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영향을 받아 된소리로 바뀝니다.
- 이 현상은 ‘강조’처럼 들릴 수 있어, 발음이 더 또렷해지는 느낌을 줍니다.
2. 발음 규칙-연음(연음화)
연음은 단어와 단어가 만나서 끊기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지며 발음되는 현상입니다.
예시
- 꽃이 → [꼬치]
- 밥을 → [바블]
- 한국어 → [한구거]
원리
- 받침이 있고 그 다음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, 받침이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이동하여 발음됩니다.
- 표기상으로는 끊어져 있지만, 소리상으로는 한 덩어리처럼 이어집니다.
3. 발음 규칙-자음 동화
자음 동화는 서로 다른 자음이 만나 하나의 소리로 바뀌는 현상입니다. 크게 비음화, 유음화, 구개음화 등으로 나뉩니다.
3-1. 비음화
비음화는 ‘ㄱ, ㄷ, ㅂ’ 같은 파열음이 비음(ㄴ, ㅁ) 앞에 오면, 그 발음도 비음으로 변하는 것입니다.
예시
- 국물 → [궁물]
- 신문 → [심문]
- 앞문 → [암문]
3-2. 유음화
‘ㄴ’과 ‘ㄹ’이 만나면 ‘ㄴ’이 ‘ㄹ’로 바뀌는 현상입니다.
📘 유음화의 조건
유음화는 ‘ㄴ’과 ‘ㄹ’이 나란히 있을 때, 즉 서로 인접할 때 일어납니다.
이때 ‘ㄴ’이 ‘ㄹ’로 바뀌어, 결과적으로 **‘ㄹ+ㄹ’**이 되죠.
✅ 예시
표기 | 발음 | 설명 |
---|---|---|
신라(新羅) | [실라] | ㄴ + ㄹ → ㄹ + ㄹ |
설날(歲日) | [설랄] | ㄹ + ㄴ → ㄹ + ㄹ |
전라도 | [절라도] | ㄴ + ㄹ → ㄹ + ㄹ |
광한루 | [광할루] | ㄴ + ㄹ → ㄹ + ㄹ |
🧠 왜 유음화가 일어날까?
‘ㄴ’과 ‘ㄹ’은 발음 위치가 비슷한데, 실제로는 서로 발음하기 어려운 조합이에요. 그래서 둘이 만나면 둘 다 ‘ㄹ’로 통일해 발음하는 게 훨씬 자연스럽고 말하기 쉬워요.
예를 들어 “설날”을 [설날]이라고 발음하면 부자연스러워요. 혀가 두 번 왔다 갔다 하거든요. 그래서 [설랄]처럼 부드럽게 연결하는 겁니다.
❗ 예외도 있다?
네, 유음화에도 예외가 있습니다. 고유어 중 일부에서는 ‘ㄴ+ㄹ’이어도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아요. 특히 합성어나 단어 내 일부 구성에서는 그대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어요.
❌ 유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
표기 | 발음 | 이유 |
---|---|---|
신라면 | [신라면] | 고유명사, 상표 |
한라산 | [한라산] | 고유어+고유어 |
은로 | [은로] | 예외적인 표기 (한자어지만 유지되는 경우도 있음) |
※ 하지만 실제 대화에서는 [실라면], [할라산]처럼 유음화해서 발음하는 경우도 흔해요.
3-3. 구개음화
‘ㄷ’이나 ‘ㅌ’이 ‘이’나 ‘히’ 앞에 오면, ‘ㅈ’이나 ‘ㅊ’으로 바뀝니다.
예시
- 같이 → [가치]
- 미닫이 → [미다지]
4. 발음 규칙-음절 끝소리 규칙
한국어에서는 음절 끝 자음(받침)을 발음할 수 있는 소리로 단순화합니다. 대표적으로는 ‘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ㅇ’ 이 7가지만이 끝소리로 발음됩니다.
예시
- 부엌 → [부억]
- 밖 → [박]
- 밟다 → [밥따] (여기서는 ‘ㄹ’은 묵음)
이러한 규칙 때문에 철자와 실제 소리 사이에 차이가 생깁니다.
5. 발음 규칙-경음화
된소리가 아닌 자음이 강세나 특정 환경에서 강하게 발음되는 현상입니다. 앞서 소개한 된소리되기와 유사하지만, 의도적으로 강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
경음화의 대표적인 조건과 예시
경음화가 일어나는 조건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:
① 유성자(‘ㄴ, ㅁ, ㄹ’ 등) 뒤에 예사소리가 올 때
유성자 뒤에 평음이 오면 된소리로 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✅ 예시
표기 | 발음 | 설명 |
---|---|---|
신도시 | [신또시] | ‘ㄴ’ 뒤에 ‘ㄷ’ → ‘ㄸ’ |
한복판 | [한뽁판] | ‘ㄴ’ 뒤에 ‘ㅂ’ → ‘ㅃ’ |
언젠가 | [언쩬가] | ‘ㄴ’ 뒤에 ‘ㅈ’ → ‘ㅉ’ |
삶도 | [삼또] | ‘ㅁ’ 뒤에 ‘ㄷ’ → ‘ㄸ’ |
※ ‘ㄹ’도 유성음이지만, 보통 유음화 규칙과 결합돼 따로 처리됩니다.
②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경계에 자음이 올 때
두 단어가 결합되거나 접사가 붙어서 단어가 만들어질 때, 경계에서 경음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.
✅ 예시
표기 | 발음 | 설명 |
---|---|---|
불법(不法) | [불뻡] | ‘ㄹ’ 뒤의 ‘ㅂ’ → ‘ㅃ’ |
국수 | [국쑤] | ‘ㄱ’ 뒤의 ‘ㅅ’ → ‘ㅆ’ |
입장 | [입짱] | ‘ㅂ’ 뒤의 ‘ㅈ’ → ‘ㅉ’ |
이러한 현상은 특히 한자어에서 자주 나타나며, 예사롭게 쓰이기 때문에 더 주의해서 봐야 해요.
🎯 경음화와 된소리되기의 차이
사실 많은 사람들이 **‘된소리되기’**와 **‘경음화’**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,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.
항목 | 된소리되기 | 경음화 |
---|---|---|
정의 | 받침+예사소리 → 된소리 | 특정 음 뒤 예사소리 → 된소리 |
예시 | 국밥 → [국빱] | 신도시 → [신또시] |
조건 | 받침 뒤 자음 | 유성자 뒤 자음, 합성어 |
☑️ 쉽게 말해, 된소리되기는 경음화의 한 종류라고도 볼 수 있어요.
마무리하며
한글은 음운 규칙이 정교하게 짜여 있어, 표기와 발음 사이의 체계가 매우 과학적입니다. 다만 실제 발음은 표기와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죠.
이런 발음 규칙들을 알고 있으면 말할 때 더 정확한 소리를 낼 수 있고, 듣기 실력도 향상됩니다. 국어 공부나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도 큰 도움이 되겠죠?
다음에는 실생활에서 자주 틀리는 발음 사례들을 모아 볼게요.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도 부탁드려요!
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궁금하시다면 클릭해서 알아보세요. 클릭!